알아두면좋은TIP

[TIP]에어컨 관리 노하우

주유하는 날 2022. 7. 11. 16:16
반응형

안녕하세요.
장마철과 무더위를 반복하는 하루하루예요~

오늘은!! 여름철의 필수품!! 에어컨에 대한 관리와 팁을 요약해봅니다.

제일 먼저 우리 집 에어컨의 유형을 알아야겠어요.

정속형 vs 인버터형 이렇게 2가지 유형인데요.

자아~ 댁내에 에어컨으로 움직이시기 전에 알아두셔야겠지요~

1. 정속형 - 실외기가 계속 작동 (계속~ 작동하다 보니!! 전기세가 누적된다!! 즉!! 전기세 UP!!!!)
2. 인버터형 - 적정 온도 도달 시 실외기 가동이 멈춤 (전기세 걱정 No!!)

그러면, 우리 집 에어컨의 냉방 소비전력이 어떤지 보셔야겠지요?

에어컨으로 이동하셨다면, 양 옆을 보셔서~ 스티커가 보이실 겁니다.
품명/ 전류/ 제품 중량... 기타 등등

저희 집 에어컨은 시스템에어컨(천장형)이라서, 올라가서 보기 힘들어요~
작년에 제품 등록을 해둔 터라, 삼성전자에서 스펙을 가져왔어요.

작년에 에어컨에서 굉음이 들려서 A/S를 해서 등록어요~!!!

이렇게 설명은 했지만, 사실 귀찮아서 에어컨으로 가지 않으실 수도 있는 분들을 위해!!
아주 간단하게 지금 이 자리에서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자! 에어컨 리모컨으로 바로 전원을 눌러보세요.

1. 바로 꺼진다
2. 전원 꺼지는 소리는 들렸는데, 슝~~~~~~~ 하고, 소리가 들린다.


정답은??















1. 정속형 에어컨
2. 인버터 에어컨




이렇게 확인을 하셨다면, 에어컨 교체 vs 에어컨 관리로 나뉠 거예요.
(10여 년 전에 구입했던 에어컨은 대부분, 정속형에 해당된다고 해요~)

그럼, 인버터 에어컨을 설치된 분들은 그럼 어떻게 관리를 해야 하는지 몇 가지 정리를 해볼게요.

1. 우선! 에어컨을 켜기 전에 환기 5~10분 필요!!

(집 내부의 정화되지 않은 공기로 한다면, 에어컨의 특성이 실내의 공기를 흡입 후 분사하는 원리이므로 필요!!!!)

2. 에어컨 온도를 26 º~28 º 유지!!
(온도를 자꾸 올렸다 내렸다 하면, 실외기 작동이 되므로 전기세 Up!!!)

3. 암막커튼 활용
(요즘은 침실에는 대부분 암막커튼을 이용하시는 걸로 아는데요. 외부의 열을 차단해주기 때문에 설정해둔 온도를 유지하는데, 도움됩니다!!)

4. 필터 청소!!
(필터에 먼지가 많이 있으면, 필터에 수분(?)이 증발되지 않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 즉, 작동 효율이 떨어짐)
필터 청소 안 하면? 자주 볼 수 있는 곳은, 음식점에서 에어컨을 보면 하얗게 연기(?)가 나오는데요.
저는 이 글을 작성하기 전에, 그 현상이 음식점의 온도와 에어컨의 온도를 낮게 설정해서 나오는 수증기(?)라고 생각했는데... 흠.. 필터 청소 안 한 에어컨이었군요.. (허허)

5. 에어컨을 켰다면, 8시간~10시간이던 켜 두자!!
(가장 중요합니다. 껐다 켰다 자꾸 반복하게 되면, 실외기의 엔진이 그럴 때마다 회전을 하게 되는데, 그때 발생되는 전기세가 어마어마하다는 겁니다!! 결국, 전기 절약을 한다고 선풍기처럼 껐다/켰다 하는데, 그러면 안 됩니다!!! 우리의 부모님들께 꼭! 꼭! 알려드립시다^^)
※ 전기세 아끼려고, 간혹 리모컨에 있는 송풍으로 하시는 분들이 계시 대요... 절대로 아닙니다.
똑같은 실외기 돌아가는 거라서, 생각하신 부분은 큰 오산이니, 주변에 그렇게 하시는 분들이 있다면, 그냥~ 냉방으로 하시라고 하세요~ 송풍은.. 언제? 아래, 정속형 에어컨 사용하시는 분들이 주로 사용하면 되겠어요.
(설명은 밑으로..)

6. 에어컨과 선풍기/써쿨레이터 같이 이용하면, 시너지 Up!!
(이건 경험해보셔서 아실 테지요~ 조금 더 전기세를 절약하고 싶다면!!)

여기까지가, 정속형/ 인버터 에어컨에 대한 절세를 위한 관리 방법이고요!!


정속형 에어컨의 관리 Tip
위에, 정속형과 인버터 에어컨에 대한 구분 방법 중 전원을 OFF 후 바로 꺼지냐/ 안 꺼지냐~로 구분을 했었는데요.
이때, 정속형은 바로 꺼짐과 동시에 필터에 남은 수분으로 곰팡이가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추가적으로 관리를 해야 하는데요.

취침 전에 에어컨 전원을 꺼주기 전에 [송풍]으로 5~10분 한다!!

이렇게 되면, 인버터 에어컨처럼 필터에 남은 수분을 증발시키게 되니깐~ 곰팡이 없이!! 사용할 수 있겠죠?


아휴~ 읽으시느라 고생하셨어요.
근데 여기까지 읽으신 걸 보면, 꽤 꼼꼼하신 분일 테지요?

잘 활용하셔서, 절세도 되시고~ 주변 지인분들께도 좋은 정보 공유하면 참~ 좋으실 겁니다!!

그럼~ 무더위 + 장마 잘 보내세요~
그럼 안녕~




(속닥속닥)
아!! 그리고 여기까지 읽으신 분 중에, 저랑 같은 모델을 사용하신 분이라면 도움되실 거 같아 조금 더 글 남겨요
작년에, A/S기사님께서 알려주신 건데요.

천장에, LED가 4개가 있을 거예요.
오른쪽에 9개의 네모가 있는데.. 이게 필터 청소 알림 기능이에요.
즉! 필터를 12시간 동안 장작 해두었으면~ 필터를 청소를 하던 안 하던!! LED 점등되는 거예요!!

동일 모델 사용하시는 분들께 도움되시길... 바라며...

반응형

'알아두면좋은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림]에어컨 필터 청소  (0) 2022.08.29
[Tip] 네이버 지도앱 영수증 인증  (0) 2022.08.20
[Tip]신용카드 결제일  (0) 2022.07.18
큰 바퀴벌레 출현!!!!!!  (0) 2022.07.08
[TIP]장마철 쌀 곰팡이  (0) 2022.06.29